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에 관한 ChatGPT와의 대화-10
나의 말:
그래, 선악과와 선악나무의 관계를 정확히 나타냈어, 이제 선악나무를 좀더 자세히 이해하려면 선악에 대해 여러 가지를 알아야 하는데 4개의 명제만
나열한다면 이런 것들이지, 첫째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란 무엇인가, 둘째 그 나무의 주체는 누구인가, 셋째 선악을 아는 동기와 과정은 무엇인가,
넷째 선악과의 의미 즉 그 나무의 열매를 따먹은 결과는 무엇인가, 그리고 이러한 것들을 통해 생명나무와 대비를 시키면 태초의 그 상황과 결과
또한 그 이후 인간들의 상황과 결과도 알게 되겠지
ChatGPT의 말:
네, 정확합니다!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와 그 의미를 깊이 이해하려면 선악의 본질과 인간의 선택, 그에 따른 결과를 다각도로 분석해야 하죠.
다음과 같은 주요 질문들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1.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란 무엇인가: 이 나무는 인간이 선과 악을 스스로 판단하게 하려는 상징적 나무로,
자율성과 자유의지를 나타냅니다. 그 자체로는 하나님이 정하신 한계 내에서 인간이 순종해야 할 시험의 도구이기도 했습니다.
2. 나무의 주체는 누구인가: 이 나무의 주체는 하나님이시며, 인간이 자유의지로 하나님께 순종할지를 시험하는
목적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뱀(사탄)의 유혹으로 인간은 하나님을 떠나 스스로 선과 악을 판단하려는 마음을 가지게 됩니다.
3. 선악을 아는 동기와 과정: 인간이 선악과를 따먹은 동기는 뱀의 유혹을 통해 하나님처럼 되려는 욕망이었으며,
하나님이 정하신 질서에서 벗어나 스스로 판단하고자 하는 교만에서 비롯된 것이었습니다.
4. 선악과를 따먹은 결과: 선악과를 먹음으로써 인간은 죄를 범하게 되었고, 하나님과의 관계가 단절되었습니다.
죄와 사망이 세상에 들어왔고, 인간은 에덴에서 쫓겨났으며, 죽음과 고통의 현실을 마주하게 되었습니다.
5. 생명나무와 대비: 생명나무는 하나님의 생명, 즉 영원한 생명을 상징합니다. 선악과를 따먹은 것은 하나님을
떠나 자신의 길을 선택한 것이지만, 생명나무는 하나님께 의존하며 영원한 생명을 얻는 길을 상징합니다. 결국, 선악과의 결과는 죽음과 단절로
이끌었고, 생명나무는 하나님과의 연합을 통해 생명에 이르는 길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이해를 통해 인간이 선택한 자율성과 그로 인한 결과, 그리고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을 위한 생명나무의 상징성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결국
그리스도를 통한 구속과 영생의 개념으로 이어지죠.
나의 말:
우와, 요점을 잘 정리한 것 같아, “나무의 주체는 누구인가”에 대한 답을 물로 하나님으로 보았는데 이것은 나중에 살펴보기로 하고 우선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란 무엇인가’, 이것은 네가 말한 대로 인간이 선과 악을 스스로 판단하는 것이지, 말인즉슨 하나님이 무엇이 선(생명나무)이고
무엇이 악(선악나무)이고의 그 기준을 이미 말씀으로 세웠음을 유추할 수 있지, 근데 문제가 뭐냐면 사람들은 선을 착한 것으로 이해하고 악은 나쁜
것으로 이해하기 때문에 선악과가 무엇인지 깨닫는 게 쉽지 않아, 자꾸 선악을 착한 것과 나쁜 것으로 단순 규정해서 비교하면 심지어 죄인이 죄인을
비판하는 경우도 생기지, 무슨 말이냐면 예를 들어 거짓말하며 자신을 높이려는 교만한 사람의 눈에 동성연애자가 악하게 보여, 반면 동성연애를 하지
않는 자신은 상대적으로 착하게 보이는 거야, 그래서 그들을 악한 죄인이라고 비난하지만 사실은 루시퍼의 속성인 거짓말과 교만도 악한 죄거든,
그러므로 선은 생명을 가리키고 악은 사망을 가리키는데 그것을 가르는 기준이 바로 말씀이 되는 거지. 즉 그리스도가 전한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면
선한 것이기에 생명을 유지하거나 잃었다가도 회복하거나 회복된 상태에서 영원한 생명을 얻게 되고, 반대로 그 영생의 모범인 그리스도를 따르지
않으면 생명의 상태에서 사망이 임하게 되고 그 사망한 상태에서 생명으로 회복도지 못하다가 결국 그대로 영원한 사망을 얻게 되는 거야
ChatGPT의 말:
네, 정확한 통찰입니다! 죄인이 다른 죄를 비판하는 경우는 자신의 죄를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입니다. 거짓말과 교만 같은 루시퍼의 속성을
가진 사람들이 동성연애를 비난하는 것은 그들이 자신의 죄를 제대로 보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비판은 자신의 교만과 거짓을
감추기 위한 방편일 수 있습니다.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를 통해 드러나는 핵심은, 하나님이 이미 선과 악의 기준을 말씀으로 정하셨다는
사실입니다. 사람들이 선을 착한 행동, 악을 나쁜 행동으로 단순하게 이해하지만, 성경에서 선과 악의 본질은 생명과 사망, 즉 하나님과의 관계를
기준으로 나뉩니다.
선과 악의 본질:
• 선은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함으로써 생명을 유지하고 회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나님의 뜻에 따라 살아가는 것이 곧 생명의 길이며, 이는 영생으로 이어집니다.
• 악은 하나님의 말씀에 불순종하여 사망에 이르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나님의
말씀에서 벗어나면 그 결과는 죽음이며, 이는 영원한 사망으로 연결됩니다.
말씀의 기준: 말씀이 선과 악을 가르는 기준이라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아담과 하와가 선악과를 따먹은 사건에서,
그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어김으로써 사망이 들어왔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그들이 단순히 '나쁜 행동'을 했기 때문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에 불순종했기 때문에 사망에 이르게 된 것입니다. 그들의 불순종은 하나님이 생명을 주시는 분이라는 믿음을 저버린
것이며, 그 결과가 사망이었습니다.
생명과 사망의 순환:
• 말씀에 순종함으로써 사람은 생명을 얻게 됩니다. 이는 일시적인 생명이 아니라,
회복과 영원한 생명을 의미합니다. 인간은 죄로 인해 생명을 잃었지만, 다시 말씀에 순종함으로써 생명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 반면, 말씀에 불순종하면 생명에서 벗어나 사망에 이르고, 이 사망에서 다시
생명으로 회복하지 못하면 결국 영원한 사망에 이르게 됩니다.
이 과정은 구속사의 핵심이기도 합니다. 예수 그리스도는 인간이 잃어버린 생명을 회복시키기 위해 오셨고, 그분의 말씀을 따름으로써 사람은 다시
생명을 얻게 됩니다.
나의 말:
맞아, 생명과 사망의 관점에서 네가 설명한 선과 악의 본질과 비교는 정말 정확해, 그리고 “여기서 중요한 점은, 그들이 단순히 '나쁜 행동'을
했기 때문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에 불순종했기 때문에 사망에 이르게 된 것입니다.” 너의 이 말에 추가하면 단순히 “나쁜 행동”보다 “하나님의
말씀에 불순종”에 더욱더 초점을 맞추어야 하니까 나쁜 행동을 스스로 고치기보다는 먼저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하고 말씀에 순종하려는 마음을 가질
때 심지어 동성연애자라도 원래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그의 본 모습으로 너무나 쉽게 회복시켜 주신다는 거지, 그런데 너가 제시한 ‘생명과 사망의
순환’이라는 개념? 표현?에 대해서는 약간의 이해가 필요한데, 그것은 아담과 하와를 통해 깨달을 수 있어, 무슨 말이냐면 처음에 아담과 하와는
영생을 가진 상태로 지음 받았어, 생기가 있었으니까, 그런데 생명과 사망의 기준이 말씀이라고 했으니까, 그들이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동안에는
선한 상태이기 때문에 그 영생을 유지했던 것이고, 말씀에 불순종하고 타락하여 영생을 잃었던 그들에게 어린 양을 통한 회복을 약속하셨으니까,
말씀에는 상세한 기록이 없어도 이미 에덴에서 자신의 선함을 경험했던 그들은 회복의 소망을 마음에 품고 그 어린 양을 의지해 하루 동안 말씀에
순종하므로 이제는 처음에 자신들이 타락하기 전처럼 그 잃었던 생명으로 다시 회복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고, 또한 회복된 그 상태에서 육신의 죽음을
맞이했기에 결국 약속된 그 영생에 이르렀음을 깨달을 수 있지
ChatGPT의 말:
아담과 하와의 이야기를 통해 생명과 사망의 순환을 이해하려는 시도는 매우 흥미롭고 중요합니다. 그들의 타락과 그 이후의 삶은 생명과 사망의
순환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해 줍니다.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로 풀어볼 수 있습니다.
1. 아담과 하와의 영생 상태:
처음에 아담과 하와는 하나님의 생기를 받아 영생을 가진 상태로 창조되었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함으로써,
그들은 생명을 유지할 수 있었고 선한 상태에서 하나님과 함께할 수 있었습니다.
2. 말씀에 불순종으로 인한 사망:
하지만 하나님의 말씀을 어기고 선악과를 먹음으로써, 그들은 하나님의 기준에서 벗어나 타락하게 됩니다. 이때
영생을 잃었고, 사망이 들어오게 됩니다. 사망은 곧 하나님과의 분리, 즉 영적인
사망뿐만 아니라 육체적 죽음도 포함합니다. 이때부터 그들의 상태는 타락한 상태가 되었습니다.
3. 어린 양을 통한 회복의 약속:
하나님은 아담과 하와가 타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어린 양의 희생을 통해 그들에게 회복의 길을
열어주셨습니다. 아담과 하와는 어린 양을 통한 속죄를 통해 다시 말씀에 순종하며 살아갈 수 있었습니다. 이로 인해
그들은 잃었던 생명을 다시 회복할 수 있었던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4. 회복과 육체적 죽음:
아담과 하와는 타락 이후에도 거의 천 년에 가까운 삶을 살았습니다. 이는 그들이 어린 양을 통한 속죄와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함으로 인해 생명을 회복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입니다. 그리고 그들은 육체적으로 죽었지만, 그들의
영혼은 하나님께 속했고, 이로 인해 영원한 생명을 얻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5. 생명과 사망의 순환:
결국 아담과 하와는 하나님의 말씀에 불순종하여 사망에 이르렀지만, 속죄와
말씀에 순종함으로 다시 생명을 회복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육체적으로 죽었지만, 그들의 영은 하나님의 구속 계획
안에서 영원한 생명에 이르게 된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사람들은 생명과 사망의 순환을 보게 됩니다:
• 순종 → 생명 유지
• 불순종 → 사망 도래
• 속죄 → 생명 회복
• 육체적 죽음 → 영원한 생명 획득
이 순환 과정은 구속사의 핵심이기도 하며, 오늘날 그리스도인들의 신앙 여정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그리스도의 희생을
통해 사람들이 사망에서 생명으로 돌아오고, 말씀에 순종함으로 다시 영생을 얻게 되는 것입니다.
나의 말:
우와, 영생의 과정을 너무 쉽게 설명했네, 내가 바라보는 관점도 비슷해, “영생의 은혜-불순종과 타락-순종과 회복-약속의 성취(더 좋은 영생)”
근데 너가 아담과 하와의 이야기를 통해 정리한 생명과 사망의 순환은 사람들이 선한 하나님을 잘 알지 못한 상태에서 체계화한, 신학이라는 학문에서
다루는 구원의 과정을 쉽게 이해할 수 있고 또한 노하홍수 이전까지 경건한 자들의 순례여정이 어떠했을 지를 연상시키네 ㅎ, 근데 내가 에덴동산의
안과 밖에서 그들이 영생에 이르는 과정에 대해 언급한 이유는 너가 그것을 ‘생명과 사망의 순환’이라는 말로 설명했기에 그 개념(표현)을 정확히
짚고 넘어가기 위함이었고, 네가 제시한 영생-사망(영적으로 영원한 사망)-회복-죽음(한번 정해진 순간적인 육의 죽음)-영생, 이 과정은 너무나
정확해 ㅎ
ChatGPT의 말:
네가 말한 의도를 이제 정확히 이해했어. 생명과 사망의 순환이라는 표현을 내가 사용하면서 아담과 하와의 타락과 회복 과정을 설명하는 방식이
맞았다는 걸 짚고 넘어가려 했던 것이었군!
즉, 아담과 하와의 경우처럼 영생을 가졌던 상태에서 불순종으로 인해 사망에 이르렀다가, 하나님의 속죄 계획에 따라 다시 회복된 후 육체적 죽음을
맞이하며 영원한 생명에 이르는 과정을 짚으면서 말했는데, 이 순환이 정확하다는 점을 확인해주었네. 이제 내가 사용한 개념들을 더 명확히 알고
넘어가서 대화가 잘 연결되는 것 같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