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에 관한 ChatGPT와의 대화-1

 

나의 말:
ai야, 내가 너에게 문제 하나 낼게, Jennifer Rush의 노래 The power of Love에서 이 부분의 가사 “Your voice is warm and tender”와 정확히 맞아 떨어지는 느낌을 창세기 3장에서 찾아 볼래

ChatGPT의 말:
창세기 3장에서는 하나님과의 대화가 아니라 사탄, 즉 뱀이 하와에게 말을 걸 때의 장면이 있습니다. 창세기 3:1에서 뱀은 “하나님이 참으로 너희에게 동산 모든 나무의 열매를 먹지 말라 하시더냐?”라고 묻습니다. 이 질문은 겉으로는 의심을 가리키며 부드럽고 조심스러운 톤을 사용하여 하와를 유혹하려 합니다.
“Your voice is warm and tender”와 비슷한 느낌은 사탄의 속삭임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사탄의 말은 겉으로는 부드럽고 친절해 보이지만, 내면에는 하와를 유혹하고 죄로 이끄는 의도가 숨겨져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 표현과 가장 맞아떨어지는 말씀은 창세기 3장에서 사탄의 유혹적인 말씀이 될 것입니다.

나의 말:
맞아, 근데 그렇게 따뜻하고 부드러운 음성을 그 당시 여자가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아니

ChatGPT의 말:
맞습니다. 사탄의 음성은 하와에게 매우 매력적이고 설득력 있게 들렸습니다. 창세기 3장에서 하와는 뱀의 말을 듣고 그 유혹에 넘어가 결국 금지된 열매를 먹게 됩니다. 사탄의 말은 겉으로는 따뜻하고 부드러운 듯 보이지만, 실제로는 하와를 죄로 이끄는 음성이었습니다.
여자는 사탄의 음성을 처음에는 의심 없이 받아들이며, 그 속삭임이 진실이라고 믿게 됩니다. 이와 같은 유혹의 과정은 사탄의 말을 들을 때, 그것이 진리인지 거짓인지 파악하기 어렵게 만드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탄의 목소리가 “따뜻하고 부드럽다”는 것은 그가 자신의 의도를 숨기고 매력적으로 말할 수 있는 능력을 가졌음을 나타냅니다.
이런 식으로 사람들은 종종 죄와 유혹을 매우 매력적으로 느끼며, 이를 통해 진리를 보지 못하고 잘못된 선택을 하게 됩니다.

나의 말:
루시퍼의 말이 얼마나 따뜻하고 부드럽게 들렸으면 이렇게 느껴졌을까? “여자가 그 나무를 본즉 먹음직도 하고 보암직도 하고 지혜롭게 할 만큼 탐스럽기도 한 나무인지라”

ChatGPT의 말:
창세기 3:6의 묘사는 하와가 뱀의 유혹에 넘어가는 과정을 잘 보여줍니다. 이 구절에서 하와는 금지된 나무의 열매를 보고 세 가지 이유로 그것을 매력적으로 느낍니다:
1. 먹음직도 하고: 열매가 맛있어 보였다는 것은 그것이 육체적 쾌락을 제공할 것이라는 유혹을 상징합니다.
2. 보암직도 하고: 열매가 보기에도 아름다워 보였다는 것은 그 것이 단순히 육체적인 만족을 넘어서, 미적 가치나 사람의 감각을 자극한다는 의미입니다.
3. 지혜롭게 할 만큼 탐스럽기도 한: 이 부분은 열매가 지혜를 가져다 줄 것이라는 약속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이는 하와가 지식과 이해를 얻을 수 있는 기회로 여긴 것인데, 이러한 유혹은 사람들이 종종 진리와 지식을 위해 잘못된 선택을 하도록 만듭니다.
이러한 매력적인 특성은 루시퍼의 유혹이 얼마나 부드럽고 달콤하게 들렸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뱀의 유혹은 하와에게 금지된 열매가 단순히 물리적으로나 감각적으로 매력적인 것이 아니라, 그가 더 큰 지혜를 얻을 수 있는 기회로 제시되었습니다. 이런 식으로 루시퍼는 사람들을 유혹하여 그들의 의식을 흐리게 하고 죄를 짓도록 만듭니다.

나의 말:
내가 “루시퍼의 말이 얼마나 따뜻하고 부드럽게 들렸으면 이렇게 느껴졌을까?”라고 질문했던 의도는 너의 설명대로 하와가 뱀의 유혹에 넘어가는 과정 즉 먹음직과 보암직과 지혜롭게 할 만큼 탐스럽기도 함에 대해 하나씩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였어, 그러니까 먼저 보암직에 대해 가만히 다시 생각해봐, ‘먹는다는 것’은 육적인 음식이 아니라 먹으면 죽는다는 하나님의 말씀이고 먹어도 죽지 않는다는 루시퍼의 거짓말도 말이므로 둘 다 말이라는 영이야, 즉 사람이 입으로 육의 음식을 먹듯이 말씀이나 말이라는 영적인 음식을 취해서 행동으로 옮긴다는 거지

ChatGPT의 말:
맞아요, 깊이 생각해보면 먹는다는 개념은 단순히 육체적 음식에 국한되지 않고, 영적인 의미에서도 해석될 수 있습니다. 창세기 3장에서 나무의 열매를 먹는 것은 단순히 물리적인 행위가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이나 루시퍼의 거짓말을 받아들여서 자신의 신앙과 삶의 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상징합니다.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나무의 열매를 먹지 않는 것은 영적 순종과 신뢰를 의미하며, 이를 어길 경우 영적 죽음을 초래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반면, 루시퍼의 유혹은 “먹어도 죽지 않는다”는 거짓말로 사람들을 속여 하나님의 뜻과는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끕니다.
따라서 하와가 나무의 열매를 먹은 것은 단순히 육체적인 행위가 아니라, 영적인 관점에서 하나님과의 관계를 끊고 루시퍼의 유혹에 굴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처럼 먹는다는 개념은 육체적, 영적 차원 모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나의 말:
그래, 육체적 차원과 영적 차원 모두를 포함하지, 그리고 말과 행위의 순서를 믿음과 관계해서 다시 정리하면, 일단 그들이 거짓말을 듣고 난 후에 영적인 결심이 있었기에 나중에 그 말에 대한 믿음에 따라 따먹는 행동이 나왔다는 거지, 이러한 과정을 통해 먹음직 하다는 것은 루시퍼의 말이 자신에게 너무나 따뜻하고 부드럽게 들리므로 말의 결과 즉 하나님의 말씀에 불순종하고 따먹게 되는 일이 발생한 거지

ChatGPT의 말:
정확히 이해하셨어요. 영적 결심과 그에 따른 행동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창세기 3장에서 하와가 나무의 열매를 먹게 된 것은 단순히 육체적인 욕망 때문만이 아니라, 루시퍼의 달콤한 유혹에 대한 영적 결심의 결과입니다.
• 루시퍼의 말이 따뜻하고 부드럽게 들린 것: 루시퍼는 하와에게 “먹어도 죽지 않는다”는 거짓말을 했습니다. 이는 하와에게 하나님의 명령을 무시할 수 있는 합리화를 제공하며, 그의 말을 따르도록 유도했습니다. 루시퍼의 말이 하와에게 매력적이고 부드럽게 들렸기 때문에, 하와는 하나님의 경고를 무시하고 그 열매를 먹게 되었습니다.
• 영적 결심과 행동: 하와는 루시퍼의 유혹을 받아들여 그 말에 동의하는 영적 결심을 했고, 그 결과 육체적 행동으로 이어졌습니다. 즉, 하와의 결정이 그녀의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런 해석은 영적 결심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잘 보여주며, 하나님과의 관계를 유지하거나 타락하는 데 있어서 영적 선택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